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중국, 대한민국, 일본의 대표 기사들이 참가했으며, 각국 선수들의 대국 결과와 함께 1, 2, 3차전의 상세 경기 내용이 기록되었다. 중국은 7승 3패, 대한민국은 4승 5패, 일본은 2승 5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2007년 10월 16일부터 2008년 2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1차전은 2007년 10월 16일부터 10월 19일까지, 2차전은 2007년 11월 23일부터 11월 27일까지, 3차전은 2008년 2월 22일부터 2월 26일까지 열렸다.
제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의 대국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대회 일정
3. 참가 기사 명단
4. 대국 결과
대국 대국일자 차전 장소 승자 패자 결과 기보 1 2007년 10월 16일 1차전 중국 베이징 쿤룬(昆崙)호텔 하네 나오키 九단 펑취안 七단 264수 백 반집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6-ns-hane.sgf] 2 2007년 10월 17일 홍민표 六단 하네 나오키 九단 237수 백 반집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7-ns-hmp.sgf] 3 2007년 10월 18일 왕시 九단 홍민표 六단 231수 흑 불계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8-ns-wang.sgf] 4 2007년 10월 19일 왕시 九단 고노 린 九단 240수 흑 2집반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9-ns-wang.sgf] 5 2007년 11월 26일 2차전 부산 농심호텔 왕시 九단 조한승 九단 302수 흑 10집반승 6 2007년 11월 27일 야마다 기미오 九단 왕시 九단 322수 흑 반집승 7 2007년 11월 28일 목진석 九단 야마다 기미오 九단 287수 백 3집반승 8 2007년 11월 29일 후야오위 八단 목진석 九단 270수 백 반집승 9 2007년 11월 30일 요다 노리모토 九단 목진석 九단 242수 흑 6집반승 10 2007년 12월 1일 창하오 九단 목진석 九단 148수 백 불계승 11 2008년 2월 19일 3차전 중국 상하이 화팅(華亭)호텔 다카오 신지 九단 창하오 九단 213수 흑 2집반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802/080219-9nong-chang.sgf] 12 2008년 2월 20일 이창호 九단 창하오 九단 288수 백 반집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802/080220-9nong-chang.sgf] 13 2008년 2월 21일 박영훈 九단 다카오 신지 九단 227수 흑 불계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802/080220-ns-01.sgf]
최종 결과는 중국이 7승 3패로 우승했고, 대한민국이 4승 5패로 준우승, 일본이 2승 5패로 3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구리 九단은 출장하지 않았다.
4. 1. 1차전 (중국 베이징)
2007년 10월 16일부터 10월 19일까지 중국 베이징 쿤룬(昆崙)호텔에서 1차전이 진행되었다. 1차전에서는 일본의 하네 나오키 九단이 중국의 펑취안 七단을 상대로 승리하였고, 한국의 홍민표 六단이 하네 나오키 九단을 이겼다. 이후 중국의 왕시 九단이 홍민표 六단과 일본의 고노 린 九단을 연파하며 1차전을 마무리했다.
4. 1. 1. 1국 ~ 4국
대국 대국일자 차전 장소 승자 패자 결과 기보 1 2007년 10월 16일 1차전 중국 베이징 쿤룬(昆崙)호텔 하네 나오키 9단 펑취안 7단 264수 백 반집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6-ns-hane.sgf] 2 2007년 10월 17일 1차전 중국 베이징 쿤룬(昆崙)호텔 홍민표 6단 하네 나오키 9단 237수 백 반집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7-ns-hmp.sgf] 3 2007년 10월 18일 1차전 중국 베이징 쿤룬(昆崙)호텔 왕시 9단 홍민표 6단 231수 흑 불계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8-ns-wang.sgf] 4 2007년 10월 19일 1차전 중국 베이징 쿤룬(昆崙)호텔 왕시 9단 고노 린 9단 240수 흑 2집반승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710/071019-ns-wang.sgf]
4. 2. 2차전 (대한민국 부산)
2007년 11월 26일부터 12월 1일까지 대한민국 부산 농심호텔에서 2차전이 진행되었다.
2차전에서는 대한민국의 목진석 九단이 야마다 기미오 九단, 후야오위 八단, 요다 노리모토 九단을 상대로 3연승을 기록했으나, 중국의 창하오 九단에게 패하며 연승이 중단되었다.
선수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5라운드 | 6라운드 |
---|---|---|---|---|---|---|
왕시(王檄) | 왕시 | 야마다 기미오(山田規三生) | 목진석 | 목진석 | 목진석 | 창하오(常昊) |
조한승 | ||||||
야마다 기미오(山田規三生) | ||||||
목진석 | ||||||
후야오위(胡耀宇) | ||||||
요다 노리모토(依田紀基) | ||||||
창하오(常昊) |
4. 2. 1. 5국 ~ 10국
대국 | 대국일자 | 차전 | 장소 | 승자 | 패자 | 결과 | 기보 | |
---|---|---|---|---|---|---|---|---|
5 | 2007년 11월 26일 | 2차전 | 부산 농심호텔 | 왕시 九단 | 조한승 九단 | 302수 흑 10집반승 | ||
6 | 2007년 11월 27일 | 야마다 기미오 九단 | 왕시 九단 | 322수 흑 반집승 | ||||
7 | 2007년 11월 28일 | 목진석 九단 | 야마다 기미오 九단 | 287수 백 3집반승 | ||||
8 | 2007년 11월 29일 | 후야오위 八단 | 목진석 九단 | 270수 백 반집승 | ||||
9 | 2007년 11월 30일 | 요다 노리모토 九단 | 목진석 九단 | 242수 흑 6집반승 | ||||
10 | 2007년 12월 1일 | 창하오 九단 | 목진석 九단 | 148수 백 불계승 |
4. 3. 3차전 (중국 상하이)
2008년 2월 19일부터 2월 21일까지 중국 상하이 화팅 호텔에서 3차전이 진행되었다.대국 | 대국일자 | 승자 | 패자 | 결과 |
---|---|---|---|---|
11 | 2008년 2월 19일 | 다카오 신지 九단 | 창하오 九단 | 213수 흑 2집반승 |
12 | 2008년 2월 20일 | 이창호 九단 | 창하오 九단 | 288수 백 반집승 |
13 | 2008년 2월 21일 | 박영훈 九단 | 다카오 신지 九단 | 227수 흑 불계승 |
3차전에서는 일본의 다카오 신지 九단이 중국의 창하오 九단을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한국의 이창호 九단이 창하오 九단을 꺾고, 이어 박영훈 九단이 다카오 신지 九단을 꺾어 한국이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4. 3. 1. 11국 ~ 13국
대국 | 대국일자 | 차전 | 장소 | 승자 | 패자 | 결과 | 기보 |
---|---|---|---|---|---|---|---|
11 | 2008년 2월 19일 | 3차전 | 중국 상하이 화팅(華亭)호텔 | 다카오 신지 九단 | 창하오 九단 | 213수 흑 2집반승 |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802/080219-9nong-chang.sgf] |
12 | 2008년 2월 20일 | 이창호 九단 | 창하오 九단 | 288수 백 반집승 |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802/080220-9nong-chang.sgf] | ||
13 | 2008년 2월 21일 | 박영훈 九단 | 창하오 九단 | 227수 흑 불계승 | [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0802/080220-ns-01.sgf] |
5. 최종 결과
중국이 7승 3패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4승 5패로 준우승을, 일본은 2승 5패로 3위를 기록했다.
순위 | 국가 | 성적 |
---|---|---|
1 | 중국 | 7승 3패 |
2 | 대한민국 | 4승 5패 |
3 | 일본 | 2승 5패 |
중국팀은 구리 九단이 출전하지 않고도 우승을 차지했다.
6. 특이 사항
중국의 구리 9단은 출전하지 않았다. 한국은 이창호 9단과 박영훈 9단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한국의 바둑 팬들은 이창호 9단이 노쇠화로 인해 예전만큼의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